All Issue

2019 Vol.35,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19. pp. 199-220
Abstra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40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 level-specific dictionary that can help with the writ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 intermediate vocabulary book was created fo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20) performed the writing task referring to the intermediate vocabulary book for five weeks, and the control group (20) performed the writing task referring to the bilingual dictionary (Naver dictionary). After a five-week experiment, syntactic proficiency was measured based on the final test and the extensive writing of free writ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tha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is, we saw the possibility of using a level-specific dictionary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References
  1. 강정희. 2018.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발달과 어휘 사용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71, 38-64.
  2. 강현화. 2001. 한국어 학습용 이중어 사전 역할에 대한 논의-반이중어 사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제2차 아시아 사전학회 국제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아시아사전학회, 44-49.
  3. 김영주 ‧ 남주연 ‧ 이선진 ‧ 이선희. 2013. 한국어 숙달도와 산출 능력 간의 상관관계 연구, 『국어국문학』 164, 209-244.
  4. 남주연 ‧ 김양희 ‧ 김영주. 2016. L2한국어 문어 산출에서의 통사 복잡성 측정, 『한국어 의미학』 51, 21-56.
  5. 박지순· ‧ 서세정. 2009. 쓰기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 측정 연구, 『언어와 문화』 5.2, 151-173.
  6. 박꽃새미. 200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사용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이중어사전과 단일어사전 사용 비교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7. 배연경. 2008. 표현 활동을 위한 영어 사전의 이해와 활용,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5.1, 281-307.
  8. 배연경. 2013. 사전 사용 연구의 현황과 의의-영어교육에서의 사전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1, 108-134.
  9. 서세정. 2009. 통사적 숙달도 진단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연세대석사학위논문.
  10. 안의정. 2015.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정보 항목별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5, 162-182.
  11. 원미진 ‧ 주우동. 2016. 사전 사용이 읽기 이해도 및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단일어 사전과 이중어 사전 사용 비교, 『한국사전학』 27, 201-218.
  12. 이복자. 2015.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역동적 발달 연구, 연세대박사학위논문.
  13. 이홍식. 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의 사전학적 고찰, 『국어국문학』 162, 171-204.
  14. 정영국. 2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의 전망 – 영어 학습자 사전의 경우에 비춰본 고찰, 『한국사전학』 14, 52-79.
  15. 조미옥· ‧ 정영국. 2002. 한영사전의 역사와 성격, 『영어교과교육』 1.2, 119-142.
  16. 최경봉. 2008. 특수사전 편찬의 현황과 과제, 『우리어문연구』 30, 59-86.
  17. Bishop. G. 2001. Using Quality and Accuracy Ratings to Quantify the Value Added of Dictionary Skills Training Course. Language Learning Journal 24, 62-69. 10.1080/09571730185200261
  18. Ellis, R. 2009.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ree Types of Task Planning on the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in L2 Oral Production. Linguistics 30.4, 474-509. .10.1093/applin/amp042
  19. Kiel Christianson, 1997. Dictionary Use by EFL Writer: What Really Happens?,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6.1. 23-43. 10.1016/S1060-3743(97)90004-7
  20. Larsen-Freeman, D. 2006. The Emergence of Complexity, Fluency, and Accuracy in the Oral and Written Production of Five Chinese Learners of English. Linguistics 27.4, 590-619. 10.1093/applin/aml029
  21. Michal Rundell, 1999. Dictionary Use in P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xicography 12.1, 35-53. 10.1093/ijl/12.1.35
  22. Nation I.S.P.,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017/CBO9781139524759 PMC90373
  23. Rovert Lew, 2016. Can a Dictionary Help You Write Better? A User Study of an Active Bilingual Dictionary for Polish Learners of English. International Journal of Lexicography 29.3, 353-366. 10.1093/ijl/ecw024
  24. Skehan, P., 1996. A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Task-based Instruction. Linguistics 17.1, 38-62. 10.1093/applin/17.1.38
Information
  • Publisher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Publisher(Ko) :한국현대언어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 Journal Title(Ko) :언어연구
  • Volume : 35
  • No :2
  • Pages :199-220